Search
🌍

hellocock.0_1. title: 주류(liquor) 가격결정권이 기업에게 없다고? 아니야!

🚀 prev note
♻️ prev note
🚀 next note
♻️ next note
17 more properties
우선 우리는 주류와 관련된 기업이 어떤 가격을 자유롭게 매긴다는 것에 대해서 의심을 가지고 있었다. 우리가 이렇게 가격에 대해서 논할 자격이 있을까? 태정(모히또) 이 세무사에게 들은 말에 따르면, 주류업계에는 '암묵적인 가격' 이 정해져 있고 가격결정권은 우리(헬로콕)에게 없다고 했다. 가격결정권이 우리에게 없다면 가격에 대해서 논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먼저 알아보아야 한다.
우선 나의 결론은, 어떤 제품의 가격을 정하는 것은 온전히 기업의 몫이고, 특정한 관례를 따라야 할 사회적 분위기 또는 의무는 전혀 없다는 것이다. 세무사는 관례라고 이야기했다고 들었다. 말 그대로, "보통 그럴 뿐인 것들" 이 흔히 관례라고 불리곤 한다. 주류업체들이 비싼 가격을 책정하지 못한 것은 프리미엄의 요소들을 찾지 못했기(참고1) 때문이고, 술에 대해서 낮은 가격을 책정하지 못한 것은 그냥 세금이 비싸기 때문이다. <프라이싱> 에서는 가격에 대해서 관습을 따를 필요가 없다고 박아 두었다 (참고2). 만약 그런 관례를 지켜야 하는 분위기가 어디엔가 존재했다면 저자는 이런 언급을 하지 않았을까?
한국 주류업계에 특정해서 - 가격 선정이 눈총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도, 온라인 서비스 <Dali> 나 <데일리샷> 의 특가 판매를 하는 점, 오프라인 매장에서 동일한 생맥주를 팔더라도 3000원~9000원 사이의 가격을 자유롭게 매기고 있다는 점, 양주를 특가로 자주 공급하는 이마트같은 거대한 기업이 있다는 것을 볼 때 근거가 빈약하다. 무료 바틀링이 되는 술집도 있고, 엑스레이티드 750ml 를 7만원에 시켜먹을 수 있는 술집도 허다하다. 이들을 모두 주류가격 파괴범으로 몰아갈 수는 없다. 법을 떠나 만약 시장에 주류가격결정권이 암묵적으로 없었다면, 이게 다 말이 안되는 이야기가 된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특정 집단이나 정부가 가격규제를 하는 것이 말이 안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국에서도 정부나 주류업계는 가격으로 눈치를 주지 않는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