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맥주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오래되지 않았다. 나는 맥주가 ‘다 비슷비슷한 것’ 이라고 여기는 사람이었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나의 맥주에 대한 첫인상은 다섯살때였다. 부모님이 가지시는 술자리 옆에서 드시는 생맥주를 깔짝깔짝 나눠 먹어본 것이 나의 맥주에 대한 첫 경험이었다. 이 맥주란 것이 정말이지 맛이 없었다. 15년이 지나 스무살이 됐을 때도 상황은 별반 다르지 않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속 <카스> 만 마셨다. 난 맛에 특색이 없는 맥주 소주가 싫어서, 스무살 땡 치는 1월 1일날 주머니에 신분증을 꼭 넣고 칵테일집에 갔다.
우리나라에서 생맥주를 판매하는 여느 가게에 들어가서 맥주를 시킨다면 그 생맥주는 <카스>, <하이트>, <오비>, 혹은 <테라>, <클라우드> 정도, 조금 맥주가 다양하다 싶은 곳은 방문해야 <호가든>, <레드락> 정도가 준비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한국스러운’ 입맛에 길들여져 있을 때, 어느 구석진 탭 하우스(수제 생맥주를 판매하는 곳)에 가서 사장님의 추천으로 8천원이 넘는 생맥주를 시켰을 때 나는 오히려 거부반응을 일으켰던 것 같다. 웩! 왜이렇게 맥주가 써! 였던 것 같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마 IPA(에일맥주의 한 종류) 였으리라 싶다. 그것이 내 에일에 대한 첫 인상이었다.
다행히 2018년쯤 들어서는 주류 규제들이 느슨해지는 이벤트들이 있었다. 해외 맥주들이 쉽게 한국에 수입돼 들어올 수 있게 된 동시에, 국내 소형 브루어리들이 <강서>, <남산>, <서울> 같은 맥주들을 들고 조금씩 편의점까지 진출하는 일을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수준까지 확산되기 시작했다. 동시에 편의점 네 캔 만원 세트가 생겨나고, 네 캔이라는 선택지에 정말 다양한 맥주 종류들을 담아볼 수 있게 되었다.
편의점 네 캔 만원은 맥주를 실로 널리 보급하는 데 힘썼다. <카스>, <테라> 에 비해 <강서>, <퇴근길> 같은 에일맥주는 패키징이 압도적으로 예쁘다. 예쁜 디자인에 그런 맥주를 골라담아본 사람은 나뿐만이 아닐거다. 특히 감성 가득한 <남산> 에 데여본 사람은 꽤 많으리라 싶다. 당시의 나도 <남산> 같이 캔과 병이 예쁜 맥주들이 솔직히 정말 맛이 없었다.
그런데 이런 편견을 깨주는 데에는 맥주가 꼭 이런맛이 아닐수도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면서도, 약간 더 색다른 맛을 제공하는 맥주들이 도움이 되었다. 첫 주인공은 <스텔라 아르투아> 였다. <스텔라 아르투아> 는 한국 맥주에 익숙해져 있던 사람들도 어렵지 않게 좋아할 수 있는 무난한 풍미를 가졌는데, 그냥 <테라> 같은 맥주에 약간의 오렌지향미만 은은하게 덧입은 느낌이다. 이런 맥주를 발견한 나는, 조금 더 과감하게 모르는 맥주들을 질러보기 시작했다. <1664 블랑> 을 먹고 좌절하기도 하고, 강력한 에일맥주를 잘못 골랐다가 캔을 아예 통째로 버려 버리기도 하고 했다.
그러다 결정타를 날린 것은 친구의 추천을 통해 알게 된 <에델바이스> 였다. 캔맥을 보면 무슨 푸른색 산만 잔뜩 그려져 있다. 진짜 맛 없을것처럼 생겼다. 그런데 마셔보면 정말 그림과는 완전히 딴판이다. <1664 블랑> 처럼 역한 꽃향기가 올라오는것이 아니라, 정말 은은하고 포근한 허브를 입에 한가득 머금은 느낌이었다. <테라> 같은 것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입의 포만감! 정말 그냥 신세계였다. 나는 그래서 <에델바이스> 가 맥주에 관심을 가지게 된 열쇠였던 것 같다.
계속 도전을 하면서 맥주에서 맛을 찾으려고 헤메다 보니 이제는 솔직히 말해서 국산 라거맥주는 그냥 ‘시원하게 먹고 싶을 때’ 선택할 뿐이지, ‘맥주가 먹고 싶을 때’ 의 기준이 되지는 않게 되었다. 눈 가려놓고 <테라> 와 <오비> 를 구분하라고 하면 우리나라 국민 열명 중 구분할 수 있는 사람이 둘도 안될거다. 다른 맥주들은 정말 다양한 향을 풍기면서 개성을 뿜뿜 하는데, 아무 맛이 안 나지 않는가.
그리고 그렇게 미워하던 에일맥주들이... 이제는 어떤 에일맥주를 먹든 다 맛있게 느껴지는 지경에 이르러 버렸다. <강서> 도, <퇴근길> 도 맛있게 먹는다. 최근(@5/1/2022)에는 제주맥주 양조장 투어도 하고 있다. 편의점에 가면 캔맥보다 병맥주에 눈이 가고, 희귀한 생맥주 간판만 있으면 눈에 불을 켜고 가고싶어하는 사람이 되고 말았다.
그래서, 꼰대처럼 한마디만 하면 어떤 맥주가 맛이 없다는 건 그냥 그 맥주가 익숙하지 않아서일 가능성이 높다. 개성이 강한 친구를 만나면 당황스럽지만, 어떤 면에서는 그 친구의 개성에 대해 알아볼 기회를 만난 것 아닌가. 비슷한 느낌이다. <카스> 와 <테라> 의 맛은 확실히 다르다. 하지만 그 변화폭은 크지 않다. 마치 국어 선생님을 보다가, 영어 선생님을 보는 느낌이다. 그런데 오늘은 음악가, 내일은 과학자, 모레는 프로그래머를 만난다면, 얼마나 익숙하지 않지만 풍요로운 삶인가.
parse me
1.
None
from
1.
supplementary
1.
None
opposite
1.
None
to
2.
참고
1.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