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2_1_3_2_1.1.3. title: 학문과 지식의 역사 속에서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고, 학문에서 지식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공부하는 서베이가 먼저다. 서베이를 통해 지식지도를 그려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문제정의하면 더욱 빠르게 배울 수 있다.

생성
prev summary
🚀 prev note
♻️ prev note
next summary
🚀 next note
💡 아이디어조각
11 more properties
내가 알고 있는 범위가 너무 좁다고 느끼면 함부로 행동하기 어렵다. TODO 리스트를 짜내는 것도 겁이 난다는 것이다(참고4). 따라서 어떤 학문에 대해 최소한의 광범위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문과 지식의 역사 속에서 내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고, 학문에서 지식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공부하는 서베이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린아이가 볼법한 내용부터 공부하는 것, 해당 학문의 역사를 찬찬히 읽어보는 것(참고1), 서베이 논문을 읽어보는 것 등이 모두 서베이에 속한다. 서베이를 통해 지식지도를 그려야 한다(참고3). 커다란 방향성을 정하고 커다란 줄기들이 무엇에 집중하는지 공감해야 모르는 것이 무엇인지 문제정의하고 어떤 것을 추가적으로 연구하거나 적용해 볼지 정할 수 있다(참고2).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들.
1.
학문도 디자인씽킹이라면 이것도 공감이 먼저..?
2.
3.
from : 과거의 어떤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가?
1.
None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가?
1.
3.
4.
5.
6.
7.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가?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고 이어지는가?
1.
참고 : 레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