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ref7)
1.
논문을 풀어 설명한 자료들을 먼저 살핀다. 위키가 될수도 있고, 블로그가 될수도 있겠다(ref5).
a.
서베이 논문을 먼저 읽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ref5).
2.
제목(title), 초록(abstract), 각 파트의 소제목(section header), 시각자료 및 그래프(figures)들을 본다(ref5:초록, 시각자료를 보라는 권유).
3.
논문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동영상, 데모 영상 등 시각자료들을 찾아본다. 이들은 꼭 공식 저자의 결과물이 아니어도 좋다.
4.
다음 의문을 가지고 서론(introduction) 을 읽는다.
a.
논문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무엇인가?
b.
왜 이 논문이 충분히 흥미로운 것이고, 왜 중요한가?
c.
왜 이 문제를 푸는 일이 어려웠는가? 왜 이 문제가 일찍이 해결되지 않았는가? 기존의 방법들이 실패한 이유들은 무엇인가?(ref3)
d.
이 접근의 핵심 요소(component)들은 무엇이고, 이러한 접근의 단점과 한계는 무엇인가?(ref4)
5.
다음 의문을 가지고 related work 를 훑어본다(skim).
a.
내가 이미 알고 있는 논문이 언급되고 있는가? 만약 그렇다면, 지금 읽고 있는 논문이 내가 알고 있던 내용에 비해서 더 나은 점이 무엇인가?(ref1,ref2)
6.
다음 의문을 가지고 기술적 설명이 작성되어 있는 파트를 훑어본다(skim).
a.
노블한 점은 무엇인가?
b.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 전제된 내용(assumptions)은 무엇인가?
7.
다음 의문을 가지고 experiment 를 훑어본다.
a.
실험은 어떤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설계되었는가?
b.
실험이 대답해주지 못하는 부분은 무엇인가?
c.
그들이 비교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베이스라인은 무엇이고, 얼마나 훌륭한 성능을 가졌는가?
8.
conclusion(혹은 discussion)을 읽는다(ref6).
9.
이제부터 제대로 읽기 시작한다.
a.
기술적 설명이 작성되어 있는 파트를 제대로 읽는다.
b.
저자의 생각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읽지 말고, 긍정적으로 읽어본다. 서론을 읽을 때 생각했던 단점과 한계와 관련된 내용이 서술되어 있는지 주의깊게 보는 것도 좋다.
c.
근본적으로 중요한 내용이 아닌 것 같다면 넘어가라.
d.
중요한 내용들이 전부 다 어렵다고 생각되면, 더 쉽게 설명되어 있는 자료들을 찾아보거나 이들이 언급하고 있는 이전 논문들을 참고하라.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
연구역량을 기르려면 적어도 논문 정도는 잘 읽어야 하지 않을까? 교수님이 나를 평가하는 시선이 일반 학부생들과는 당연히 다를 것이다.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나 분야에 대한 개론적인 이해도도 중요하다.
3.
•
논문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동영상, 데모 영상 등 시각자료들을 찾아본다. 이들은 꼭 공식 저자의 결과물이 아니어도 좋다.
4.
•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갈피를 찾고자 노력했던 공부주제. 이때는 이 글에서 제안하는 순서를 잘 따라가지 못했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None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