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b3.4_5.1_2.1_2_1.1.1. title: 데이터의 둘 이상의 특징값에 상관관계가 있어 데이터 행렬 X에 잉여 행벡터(‣)가 존재하는 경우 의사역행렬을 이용할 수 없다.

생성
prev summary
🚀 prev note
♻️ prev note
next summary
🚀 next note
♻️ next note
💡 아이디어조각
11 more properties
의사역행렬을 이용해 값을 구하려면(from1) 행렬이 redundant(참고4) 하지 않아야 한다(참고1)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처음부터 생각해 보자. 우리가 만족시켜야 하는 식은 당연히 Xw=yXw=y 이다. nn 개의 특징을 가진 mm 개의 데이터를 X(n,m)X_{(n,m)} 행렬에 담아 넣었다. 이를 이용해 우리는 파라미터 ww 를 추정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XX 가 (특징, 데이터의 수) 로 구성된 행렬이라는 것이다. 이때, 만약 mm 개의 데이터에 대한 특징을 두 개를 선택해 보자. 그럼 두 개의 벡터가 나올텐데, 이들은 모두 당연히 길이가 mm 인 열벡터일 것이다. 이 두 벡터가 선형독립이 아니라면, 선형변환 XX 의 변환 후 기저벡터의 개수가 이전과 동일하지 않으므로 차원이 붕괴(from2)되어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참고3).
그래서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 것이다.
데이터를 많이 모으면 행렬 XX 에서 두 열벡터가 완벽하게 선형독립일 가능성이 월등히 낮아질 것이다. 아무리 데이터의 두 특징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실세계에는 노이즈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데이터를 더 많이 모으는 것도 행렬에 잉여 벡터(‣ Redundant vector)를 만들지 않는 방법이 될 수 있다(참고2,3).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들.
1.
None
from : 과거의 어떤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가?
1.
2.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가?
1.
None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가?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고 이어지는가?
1.
None
참고 : 레퍼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