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deer.aa4_3_5. title: 자율주차서비스의 기대효과

🚀 prev note
♻️ prev note
♻️ next note
17 more properties
주차가 잘 되지 않아 발생하는 손실 <도표>
당연히 루돌프의 자율주차 서비스가 시작되면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참고1), 무분별한 주차로 인한 도시미관 훼손과 보행자의 불편 (참고2) 과 같은 사회문제 해결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서비스가 전국의 킥보드에 적용된다고 가정하면 매년 민원처리/견인/주차공간 설치와 유지관리에 들어가는 사람, 시간, 비용 문제를 해결하여 연간 최소 50억 이상의 비용 낭비를 틀어막을 수 있다 (참고3, 4, 5).
이같은 공익적 차원뿐 아니라 디어같은 공유킥보드 기업들 입장에서도 많은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견인이 된다면 당연히 킥보드 1개만큼어치의 매출 손실이 발생한다. 빔과 라임 두 회사만 1달간 600대가 넘는 킥보드가 견인됐고 (참고3), 이것은 두 회사에서 연간 4천만원에 달하는 매출 손실을 일으킨다. 킥보드가 견인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견인 관련 안내를 지자체로부터 받은 뒤 사람이 직접 찾아가 재배치를 해야 하는 등 회사의 자원과 인력이 소비되어 왔다.
킥보드를 약 5000대 운용하는 디어에서는 재배치비용을 1대당 약 2000원 정도로 잡는데 (참고 6), 주차견인을 막기 위한 재배치 동선과 시간만 절약하더라도 최소 연간 5000만원가량의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비슷한 규모의 대한민국의 모든 공유킥보드 사업체가 10개 이상 존재하고, 한국보다 이건비가 비싼 많은 국가의 공유킥보드 서비스에도 이 기술이 적용한다면 경제효과는 귀납적으로 현재를 훨씬 상회할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공유킥보드 사업자들은 "세그웨이" 라는 중국 기업에서 생산하는 디바이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로보티즈 표윤석 박사님은 "중국 로봇이 빠르게 치고들어오고 있어, 적합한 BM 을 가진 로봇을 만들지 못한 한국 업체들의 책임이 있다." 라고 했다 (참고 7). 디어가 개발한 자율주차 기술 (그리고 자율주행 기술: 참고8) 을 탑재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비전을 공유하는 국내 기업과 함께 개발한다면 국산 디바이스 경쟁력 확보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