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화와 일반화는 같으면서도 약간 다르다. 수학과 같이 연역적으로 추상적인 표현이 구체적인 모든 부분을 완벽히 대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중요시하는 학문에서는 "일반화" 라는 표현을 쓰고(참고5), 인문학(사람을 다루는 학문) 과 같이 어떤 표현을 단축하고 함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모든 의미를 함축한 단어가 사용되는 학문에서는 "추상화" 라는 표현을 쓰는 경향이 있다. 어쨌든, 둘은 모두 무언가를 압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책 제텔카스텐의 저자는, 추상적 생각 전개가 다윈의 진화론 연구에 있어 꼭 필요한 요소였을 것이라고 평가한다(참고3). 추상적 표현은 연구를 위한 다윈의 뇌가 더욱 고등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돕는 좋은 도구였을 것이다.
수학을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는 인플루언서 이상엽은 "일반화는 무서운 것이 아니라 오히려 수학이론의 단순화를 위해서 사용된다(참고1)" 고 했다. 디어의 대표 동은이형도 "소통의 오류를 줄이고 복잡성을 낮춘다" 는 점에서 추상화가 좋다(참고2)고 했다.
그런데 한편으로 추상이라는 것은 생각이 뭉뚱그려지는 손실 압축 과정이기도 하다(단, 수학에서는 내용이 뭉뚱그려지지 않는 비손실 압축 측면이 강하다)는 측면에서 오해를 만들곤 한다(from1). 소통의 오류를 줄인다는 것은, 기나긴 문장으로 생각을 풀어 전달할 필요가 없이 하나의 단어나 문장으로 정리된다는 관점으로 추상화를 바라본 것이다.
from
sup
1.
to
참고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