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a2.5.1.7. title: 추상이 다르면 피드백을 진정으로 수용하고 서로를 신뢰하면서도 소통이 되지는 않는다 (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독후감)

생성
prev summary
🚀 prev note
next summary
🚀 next note
♻️ next note
1_4_1_5.2. title: 앙드레 말로의 소설 <인간의 조건>에서 기요가 생각하는 사랑의 본질은 죽음을 나누는 것이다. (인간의 조건 독후감)
bb7.1.1.2_1.2.1.1.5. title: 뷰(Vue)는 모델-뷰-뷰모델(‣)구조에서 뷰모델(ViewModel)만 남기고 모델(Model)과 뷰(View)를 추상화한 프레임워크이다. 프레임워크 뷰(Vue)와 디자인패턴을 논할 때 프레임워크 뷰의 디자인패턴과 우리가 작성하는 코드의 디자인패턴을 혼동해서는 안된다.
💡 아이디어조각
11 more properties
소설 <당신들의 천국> (참고4) 의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보건과장 이상욱과 원장 조백헌은 서로를 존중하고 신뢰한다. 조백헌은 상욱의 걱정과 피드백을 빠르게 수용한다. 이상욱은 원장을 크게 신뢰하고, 중요한 순간마다 항상 솔직한 마음을 털어놓고 옆에서 간언한다 (참고1). 상욱이 남기고 간 편지에도 원장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에 대한 기대감이 묻어 있다. 하지만 둘은 소통이 되지는 않는다.
서로 진정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조백헌이 형편없는 인물이기 때문은 아니다. 조백헌은 피지배인들을 잘 살게 하겠다는 진정성 있는 신념을 가지고 살아가는 탈권위주의적 지도자이다 (참고10:소설 내 조백헌원장의 태도). 섬 사람들에 대해 절대적인 권력을 가졌음에도 변화에 폭력과 강제를 동원하지 않겠다는 철학을 가진 매력적인 영웅이다 (참고3:평론가의 서술). 게다가 제3자의 따끔한 충고에 대해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사람이다. 나이가 든 사람 개인의 경험, 권력, 철학이 있음에도 그런 피드백 루프(참고5:피드백 루프는 본인이 처한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Feedback Loop)를 가지기는 쉽지 않다.
책의 내용으로 돌아와서, 조백헌은 ‘환자들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이들을 치유해서 정상인처럼 살아갈 수 있게 하겠다’ 는 의지를 테제(Thesis) 혹은 추상(‣ Abstraction)(참고6:추상화를 하는 이유) 으로 갖는다. 상욱은 조백헌의 이 태제가 잘못됐다고 끊임없이 지적한다. 하지만 조백헌은 이런 정상인의 환자 치유 관점에서 상욱의 피드백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진정한 소통이 불가능했다. 나는 조백헌을 이런 테제를 붕괴시키는 일조차 해낼 수 있는 멋진 신념을 가진 사람이라고 평가한다. 그런데 조백헌은 아쉽게도 상욱이 자신의 테제를 지적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서로의 추상화 수준이 달라 인터페이스가 달랐던 것이다. 이상욱의 주장을 쉬운 말로 바꿔 보자. ‘정상’ 이라는 그 기준이 등장하는 순간 ‘비정상' 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분류해내게 되는데, 이런 ‘비정상' 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분류해낸다는 것 자체가 무리에서 밖으로 내모는 폭력이라는 것이다. 의사와 군인 출신인 조백헌은 마지막 결혼식 주례를 연습하는 순간까지 ‘정상인과 환자(비정상인)의 패러다임에서 상황을 관찰하는 모습을 보이고, 이는 책 한 권에 걸친 이상욱의 피드백에도 이상욱이 고치고자 한 조백헌의 테제는 조금도 변화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상욱과 조백헌의 갈등은 추상이 다르면 피드백을 진정으로 수용하고 서로를 신뢰하면서도 소통이 되지는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그렇다고 결과적으로 설득에 실패한 이상욱을 비난하거나 자신의 테제의 결함을 인지하지 못한 조백헌을 비난하는 등 잘잘못을 따질수는 없다. 피드백의 방향이 서로의 본질을 변화시키지는 못했지만 충분히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조백헌의 행동은 이상욱의 생각을 온전히 담아내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갖는 동시에 원생들이 개개인의 인격체가 되도록 변화를 실제로 만들어냈다(참고9:정태의 관찰)는 데서 의의가 있고, 이상욱의 생각은 원생들에게 아무런 변화도 만들어내지 못해왔으며 그래서 어떻게 해야 문제가 해결되는지에 대한 어떠한 행동 계획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참고7,8:상욱의 발언)를 가지는 동시에 조백헌이 생각조차 하지 못하는 동일성의 폭력에 대해 끊임없이 확인하며 조백헌이 더욱 많이 고민하고 더욱 많이 행동하도록 유도하여 섬의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변화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해서는 마찬가지로 평가할 수 없다. 이상욱의 입장과 조백헌의 입장은 서로 다른데, 조백헌도 그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생각하고 이상욱도 자신이 생각하는 방향과는 전혀 다르게 일이 흘러가고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인 근거들을 찾으면 내용을 바로 추가하지 말고 supplimentary 노트로 추가하자.
to
supplementary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