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

deer.aa4_3_5_2. title: 자율주차서비스 엘리베이터 스피칭

🚀 prev note
♻️ prev note
♻️ next note
17 more properties
경쟁사 비교
우리가 제안할 서비스는 <공유 킥보드의 자율주차 서비스> 이다. 이 대회에서는 aihub 데이터의 도움을 받아, 우리가 구상한 서비스의 핵심이자 가장 중요한 "킥보드 디바이스" 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프로토타이핑한다. 자율주차가 가능한 믿음직한 새로운 폼팩터의 삼륜 킥보드 디바이스 "루돌프" 가 미래 퍼스널모빌리티의 시작점을 제시한다.
이 제품은 최근 도시의 사회문제였던 킥보드 주차문제를 기술로써 해결하며, 시각장애인의 이동권 문제를 해결하는 공익적 의미도 가진다. 서비스는 공공재 50억과 기업재 30억을 합쳐 연간 80억 이상의 직접적인 경제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참고2).
현재 한국에 배포되어 있는 공유 전동 킥보드의 90%가 중국 나인봇-세그웨이(ninebot-segway) 사 제품이다 (참고3, 5). 이를 계기로 한국형 국산 킥보드의 발전을 모색할 수 있으며, 자율주차 소프트웨어 수출 등 세계적으로 매우 큰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는 잠재력도 있다 (참고2).
한국에서는 로보티즈(일개미) 와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딜리) 가, 중국에서는 세그웨이가 개인형모빌리티 자율주행을 개발하고 있지만, 배달로봇이 아니라 퍼스널모빌리티의 유지관리에 초점을 맞추는 국내 기업은 없다. 배달의민족의 경우 수백만원이 넘는 실외형 라이다(lidar)를 사용한다는 점 (참고 6), 세그웨이는 국가 간 주행환경 도메인 갭을 극복하기는 어렵고 로보티즈는 B2C 운영경험이 없다. 전 세계적으로 aihub 데이터 규모의 데이터셋을 국가 단위로 제작, 유지관리 보수하는 나라가 귀해서 스타트업으로부터 한국용 자율주차 킥보드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국가는 한국밖에 없다. 차도 주행과 인도 주행의 특성은 비슷하면서도 매우 달라서 차량 자율주행을 위한 데이터셋과 기술을 그대로 이전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대회를 넘어 미래에는 루돌프는 자율주차를 넘어 자율주행으로 기술을 확장할 것이고, 마찬가지로 프로토타이핑의 중심에는 aihub 데이터가 있을 것이다 (참고4). 이 기술을 통해 공유전동킥보드 회수/수거/재배치 문제를 해결할 것이고, 인도 주행 기술을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해 부가가치를 창출할 것이다.
이 글은 엘리베이터 스피치(참고1) 의 형태로 작성해 보았다.
참고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