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리더가 구성원에게 줄 수 있는 가치)는 리더에게 달렸다. 대표가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이것일 것이다.
2.
(프로젝트가 팀원 개인의 이익과 얼라인된 정도)는 회사의 방향이 명확하고 그에 따라 성과가 나고 있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일반적으로 훌륭한 사람들은 다들 승리하는 스포츠팀의 일원이 되고 싶어한다(ref1). 다만, 방향이 흔들리거나 성과가 잘 나지 않는 모습이 보일 때 끊임없이 땔감을 넣어주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라고도 할 수 있다. 사명에 공감하는 사람을 영입하는 것도 이를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 이 경우 유연성이 떨어진다. 사명은 설득하는 것이다.
3.
(GRIT)을 측정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사람이 과거에 보여준 GRIT)을 참고할 수 있다. (이 사람이 과거에 보여준 GRIT)을 모르겠다면 가장 최근의 레퍼런스를 참고하라.
(리더가 구성원에게 줄 수 있는 가치) x (프로젝트 자체가 구성원의 이익과 얼라인된 정도) x (팀원의 GRIT) 의 곱은 성과가 아니라 팀워크이다.
parse me : 언젠가 이 글에 쓰이면 좋을 것 같은 재료을 보관해 두는 영역입니다.
1.
이 세상에는 다양한 리더십이 있다. 강력하게 푸시하고, 독촉하고, 엄격한 규칙으로 사람들을 이끄는 지도자는? (프로젝트가 팀원 개인의 이익과 얼라인된 정도)를 높이는 전략이 아니라, 프로젝트가 제대로 굴러가지 않을 때 구성원의 이익을 일시적으로 음의 방향으로 주어 프로젝트가 구성원의 이익과 연결되어 있다고 느끼도록 만드는 착각이다. 전략의 지속가능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from : 과거의 어떤 원자적 생각이 이 생각을 만들었는지 연결하고 설명합니다.
1.
•
이 글은 생각의 틀 중 하나이다.
2.
•
앞의 글은 창업을 시작하거나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중심으로 서술했다. 하지만 이 글은 어떤 관점으로 현상을 분석해야 하는지를 이야기한다. 창업 동기에 대한 얼라인은 프로젝트가 구성원들에게 주는 가치를 극대화한다.
supplementary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을 뒷받침하는지 연결합니다.
6.
opposite : 어떤 새로운 생각이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과 대조되는지 연결합니다.
1.
None
to : 이 문서에 작성된 생각이 어떤 생각으로 발전되거나 이어지는지를 작성하는 영역입니다.
1.
2.
ref : 생각에 참고한 자료입니다.